01. 인스턴스 고정 IP 설정


![상단 IP 관리 버튼 클릭, IPv4 주소 리스트에서 IP주소 레코드 우측 [●●●] 미트볼 버튼 클릭 후 [ 편집 ] 메뉴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SW7u3/btsQNJGLvLP/AAAAAAAAAAAAAAAAAAAAABLKhuF1wKYJjBQqPj7veDmo_njOwsajetgIp3CTHTh9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M6TtBJsUqquMlouvQi6TNAp%2FE7c%3D)
![퍼블릭 IP 없음 선택 후 [ 업데이트 ]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bJUxZY/btsQN6BFAeq/AAAAAAAAAAAAAAAAAAAAAPbyCJWraKg8WjHwGYLLFD0qxYVS9Y5Qw7g8Uemy1A39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2df5LWhgah3S109%2FQQG1PYh8dUM%3D)
![퍼블릭 IP 주소 칸에 (지정되지 않았습니다}가 표시됩니다. IPv4 주소 리스트에서 IP주소 레코드 우측 [●●●] 미트볼 버튼 클릭 후 [ 편집 ] 메뉴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bF3nBF/btsQPGQj5J5/AAAAAAAAAAAAAAAAAAAAAJPHflOeszK-yfkE_Lk-urDZ5xUumpxob23AzftUfDIo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CfgRQcSX7wBaQKpwz32ow%2FcRx4s%3D)
![예약된 퍼블릭 IP, 새 예약된 IP 주소 생성 선택 후 [ 업데이트 ] 버튼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bTWTkH/btsQMNCUVZP/AAAAAAAAAAAAAAAAAAAAAHQUDQlKwAlqVqedWWBBUP3w5tin247MQlqSQg75wDRj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JAn%2B2SjFoFoBI9Skjtjh88TUcEk%3D)

다른 인스턴스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한다.
02. Ingress Rule (수신 규칙) 추가


![상단 메뉴 중 [ 보안 ] 메뉴 클릭 후 보안 목록 박스에서 Default Security List for ... 이름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nicJq/btsQ9oPIb2E/AAAAAAAAAAAAAAAAAAAAAObBJC6pyajXYmoGe0Y79-cPyZdfoASLEC-q5Ufz8f9l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HVEPFiAzC142R7N3kaxLwRbro%2F8%3D)
![상단 [ 보안 규칙 ] 탭메뉴 클릭 후 - 소스 10.0.0.0/16, IP 프로토콜 ICMP row에서 미트볼 메뉴 클릭 후 편집 메뉴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cc0axz/btsRaWdCJTD/AAAAAAAAAAAAAAAAAAAAABUlLu3P6rw5SAHewBK9na8g9TcR_VeZ3SHQZ82kLLVj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6wGkbbIVR2JEEeRnMHlj6ApyHZw%3D)

수신 규칙 추가
![[ 수신 규칙 추가 ] 버튼 클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dAvlxU/dJMb9MCTpcw/AAAAAAAAAAAAAAAAAAAAAG3IKQKKGkh1TroZhcJZJ_TunP01SHOqu6xQ1EkDxCiq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C5rNqVzc67gyGdZoabihueJtN9k%3D)



03. SSH 접속
인스턴스 생성된 다운로드 받은 private key 파일을 활용하여 접속해야 한다.
cmd 실행되는 계정 폴더로 "oracle-service.key" 파일 이동 및 파일명 변경하면 접속이 편해진다.
i.g. ssh -i "key파일 경로" ubuntu@퍼블릭IP주소
> ssh -i "oracle-service.key" ubuntu@168.107.55.251
내부IP, PORT 접속 테스트
Service, DB가 내부 IP로 통신을 한다면 아래 내용을 진행한다.
서비스 인스턴스 SSH 접속 후
$ nc -zv ${DB 인스턴스 내부 IP} 3306
$ nc -zv 10.0.0.49 3306
Connection to 10.0.0.49 3306 port [tcp/mysql] succeeded!
성공 메세지가 뜨면 된다.
Windows powershell 에서 커넥션 테스트
i.g. Test-NetConnection ${IP주소} -Port ${Port번호}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vim 쉽게 배우기 (0) | 2025.10.21 |
|---|---|
| #05 Oracle Cloud Free Tier - DB (0) | 2025.10.13 |
| #04 Oracle Cloud Free Tier - Service (0) | 2025.09.25 |
| #02 Oracle Cloud Free Tier - VCN, 인스턴스 생성 (0) | 2025.09.25 |
| #01 Oracle Cloud Free Tier - 가입/로그인 (0) | 2025.09.25 |